디폴트옵션, TDF 외에 어떤 선택지가 있나?

디폴트옵션 설정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투자상품 비교
📌 목차
1. 디폴트옵션이란?
디폴트옵션(Default Option)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직접 운용 지시를 하지 않았을 경우, 자동으로 자금이 투자되는 기본 운용 방법입니다. 2022년 도입된 이 제도는 퇴직연금 수익률을 개선하고 방치된 자산을 능동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입되었습니다.
현재는 DC형 퇴직연금과 개인형 IRP 계좌에 적용 가능하며, 사용자 스스로 기본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디폴트옵션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2. TDF가 인기 있는 이유
디폴트옵션 상품 중에서 가장 많이 선택되는 것은 TDF(타깃데이트펀드)입니다. TDF는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정해주는 펀드로, 투자 초보자에게 특히 적합합니다.
- ✔ 자동 리밸런싱 제공
- ✔ 연령 기반 위험 관리
- ✔ 장기 투자에 적합한 구조
그러나 TDF가 모든 투자자에게 맞는 선택은 아닙니다. 자산군의 다양성이나 성과의 변동성을 감안할 때, 다른 대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3. TDF 외 디폴트옵션 선택지
디폴트옵션에는 TDF 외에도 다양한 상품이 있으며, 각기 성향과 목적에 따라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 목표수익형 펀드: 연 수익률 3~4% 목표. 안정 추구형에게 적합.
- 채권혼합형 펀드: 채권 비중이 높아 변동성이 낮음.
- 원리금보장형 상품(정기예금 등): 원금 손실 우려 없음. 단, 수익률은 낮음.
- ETF 혼합형 포트폴리오: 주식/채권 ETF를 적절히 배분. 직접 설정 필요.
특히 원리금보장형 상품은 퇴직이 임박한 50~60대에게 적합하며, 채권혼합형 펀드는 안정성과 적절한 수익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습니다.
4. 투자성향별 디폴트옵션 비교
투자 성향 | 추천 디폴트옵션 | 특징 |
---|---|---|
공격형 | TDF 2045, 글로벌 ETF | 고위험 고수익 / 장기투자 적합 |
중립형 | 채권혼합형 펀드 | 위험과 수익 균형 |
안정형 | 원리금보장형 + 채권형 | 손실 회피 목적 / 은퇴 임박자에게 적합 |
투자 성향을 모를 경우, 금융감독원의 투자 성향 진단 서비스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참고 사이트 및 관련 글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금융감독원 100세시대 재무설계센터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별 연금조회부터 다양한 정보를 간단히 조회해 보세요.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퇴직금계산기를 이용해 개인별 퇴직금을 간단히 조회해 보세요.

📎 관련글 보기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계좌 ETF 투자 시 주의할 점 – 절세와 수익률을 모두 잡는 전략 (0) | 2025.07.10 |
---|---|
IRP에 TDF만 넣어도 될까? 포트폴리오 구성 팁 (0) | 2025.07.10 |
TDF 수익률 비교 – 어떤 연도가 유리했나? (0) | 2025.07.10 |
TDF 고를 때 꼭 확인할 3가지 요소 (0) | 2025.07.10 |
퇴직연금 ETF 추천 – 저비용 고효율 포트폴리오 전략 (0) | 202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