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퇴직소득세 계산법 – IRP로 절세 가능할까?

by 금융플러스 2025. 6. 24.
반응형

퇴직소득세 계산법 – IRP로 절세 가능할까?

퇴직소득세 계산법

많은 직장인들이 퇴직을 앞두고 퇴직금 세금(퇴직소득세)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특히,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퇴직금을 이체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다는 말, 사실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IRP를 활용한 절세 전략까지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1. 퇴직소득세란?

퇴직소득세는 근로자가 퇴직 시 받는 퇴직금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일반 소득세와 달리 과세 방식이 달라 세율이 낮고 공제 범위가 넓은 편입니다.

2. 퇴직소득세 계산 방법

퇴직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4단계로 계산됩니다.

  1. 퇴직소득 = 총퇴직금 - 퇴직소득공제
  2. 과세표준 = 퇴직소득 ÷ 근속연수
  3. 세율 적용 = 과세표준 × 누진세율
  4. 퇴직소득세 = 산출세액 × 근속연수 × 70%

근속연수가 길수록, 퇴직금이 높을수록 공제가 커져 실질 세율은 낮아집니다.

3. IRP로 이체하면 세금이 줄어든다?

네, 맞습니다. 퇴직금을 IRP에 이체하면 퇴직소득세를 즉시 납부하지 않고 이연할 수 있습니다. 즉, 나중에 연금 형태로 나눠 받을 때마다 세금이 분할되어 부과됩니다.

게다가 연금 수령 시에는 연금소득세(3.3~5.5%)로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 퇴직 즉시 수령 → 퇴직소득세 일시 납부
  • IRP 이체 후 분할 수령 → 퇴직소득세 이연 + 세율 낮춤 효과

4. 실전 예시로 보는 절세 효과

퇴직금 1억 원, 근속연수 20년인 B씨의 경우:

  • 일시 수령 시: 퇴직소득세 약 700만 원 발생
  • IRP 이체 후 연금 수령 시: 연간 1,000만 원씩 10년간 분할 수령 → 연금소득세 약 350만 원

결과: 약 50% 이상의 세금 절세 가능!

5. 퇴직소득세 절세 팁

  • 퇴직금은 되도록 IRP에 이체하고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하세요.
  • 1년에 1,200만 원 이하로 나눠 받으면 분리과세 가능
  • 근속연수가 길수록 세금 공제액도 커집니다. 정확한 계산은 퇴직 직전 확인 필요!

세금은 전략입니다. 퇴직금도 세금까지 고려한 수령 설계가 중요합니다.

 

 

국세청(퇴직소득세 계산방법) 바로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