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등기부등본 쉽게 보는 법 – 전세 계약 필수 가이드

by 금융플러스 2025. 6. 18.
반응형

등기부등본 쉽게 보는 법 – 전세 계약 필수 가이드

등기부등본 쉽게 보는 법

전세 계약을 맺기 전 등기부등본 확인

내 전세금을 지키는 최소한의 안전장치

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등기부등본을 어렵게 느끼거나, 아예 확인하지 않고 계약을 진행합니다.

이 글에서는 등기부등본을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하고, 전세 사기를 예방하는 핵심 체크포인트도 함께 알려드립니다.

📌 목차

  1. 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야 하나?
  2. 등기부등본 발급하는 방법
  3. 등기부등본 보는 법 – 구성 요소 해설
  4. 주의해야 할 항목들
  5. 전세 계약 시 실전 체크리스트

1. 왜 등기부등본을 확인해야 하나?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이력서'입니다. 소유주 정보부터 근저당 설정, 가압류 내역 등 법적 권리관계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전세 계약을 맺을 때 소유주가 실제 집주인인지, 다른 채무가 잡혀 있지는 않은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깡통전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2. 등기부등본 발급하는 방법

① 인터넷으로 발급하기

  • 사이트: 인터넷등기소 접속
  • 메뉴: ‘열람하기’ 선택 → 부동산 주소 입력
  • 열람 수수료: 700원
  • 출력 가능, PDF 저장 가능

② 주민센터/법원 방문

  • 정부24나 법원 민원실에서 발급 가능
  • 수수료는 1,000원 내외

3. 등기부등본 보는 법 – 구성 요소 해설

등기부등본은 표제부, 갑구, 을구로 나뉘며, 각각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표제부: 부동산의 기본 정보 (주소, 면적, 용도 등)
  • 갑구: 소유권 관련 사항 (소유자, 소유권 이전 이력 등)
  • 을구: 근저당, 전세권 등 채권 관계

✔ 핵심 포인트

  • 갑구 확인: 계약 상대가 진짜 집주인인지 확인
  • 을구 확인: 근저당 설정 금액이 전세보증금보다 높으면 위험

4. 주의해야 할 항목들

  • 근저당권: 은행이 집을 담보로 대출해놓은 상태
  • 가압류/가처분: 법적 분쟁 위험 있음
  • 신탁등기: 집주인이 실제 소유자가 아닐 수 있음

TIP: 등기부등본에 기재된 최종 소유자명과 계약 상대자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설명을 요구하고 계약을 미루세요.

5. 전세 계약 시 실전 체크리스트

  1. 인터넷등기소에서 등기부등본 열람
  2. 소유자 이름과 계약 상대자 비교
  3. 근저당 여부 확인 (보증금보다 적은지)
  4. 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
  5. 계약서에 확정일자, 전입신고 계획 포함

🔍 마무리하며

등기부등본은 전세사기 예방의 출발점입니다. 10분만 투자해도 수천만 원의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 계약 전 꼭 확인하세요!


📎 관련글 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