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전세 사기 당했을 때 대처법 – 피해자 지원제도 총정리 (2025년 기준)

by 금융플러스 2025. 6. 18.
반응형

전세 사기 당했을 때 대처법 – 피해자 지원제도 총정리 (2025년 기준)

전세 사기 당했을 때 대처법

최근 몇 년간 전세 사기 피해자가 급증하면서 깡통전세, 보증금 미반환, 집주인 잠적 등의 키워드가 뉴스에 자주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세 사기를 당했을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과 정부 지원제도

를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 목차

  1. 1. 전세 사기 의심 신호
  2. 2. 사기 발생 시 첫 대응
  3. 3.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제도
  4. 4. 법률 구조 및 소송 절차
  5. 5. 사전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1. 전세 사기 의심 신호

  • 등기부등본상 집주인이 아닌 사람이 계약에 등장
  • 근저당 설정금액이 보증금보다 많음
  • 공인중개사가 보증보험 가입을 피하거나 회피
  • 한 건물에 전세 계약자가 지나치게 많음 (세대수 대비)

2. 사기 발생 시 첫 대응

전세 사기를 당했다면, 즉시 아래 절차를 따르세요.

  1.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등록 여부 확인
  2. 임차권 등기명령 신청 – 법원에 신청 가능
  3. 보증금 반환 청구 소송 준비
  4. 가능하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여부 확인 (가입 시 보증기관에 청구 가능)

3.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제도 (2025년)

① 전세사기 특별법 적용 대상자

  • 2024년 12월 말까지 계약한 전세 계약
  • 보증금 일부 이상 미반환되거나 경매·공매 절차 진행 중
  • 피해 조사 결과 악의적 기획전세로 판단된 경우

② 주거 지원

  • LH·SH 공공임대 우선 입주 기회
  • 긴급 임대료 지원 (일부 지역)

③ 대출 지원

  • 이주비 대출 (최대 2억 원, 연 1.5% 고정금리)
  • 전세사기 피해자 전용 전세대출 상품

④ 생활비 지원

  • 최대 6개월 생계비 긴급지원
  • 지방자치단체별 의료/교육비 보조 가능
  • 법률구조공단 무료 법률 상담 가능
  • 임차권 등기명령 → 경매 또는 공매에서 배당 요청
  • 확정일자+전입신고 되어 있으면 우선변제권 보장
  • 소액임차인 해당 시 최우선변제권 적용 (지역별 상한선 있음)

5. 사전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 등기부등본 필수 확인 – 갑구/을구 모두
  • 공인중개사 확인 및 자격증 게시 여부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가입 여부 확인
  • 실거래가, 주변 시세와 보증금 차이 비교
  • 입주 전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 마무리

전세 사기 피해자를 위한 정부 대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건 사전 예방입니다. 계약 전 10분의 확인이 수천만 원의 손해를 막아줍니다.

혹시라도 피해를 입었다면, 임차권 등기명령과 법률 상담부터 시작해보세요.

 

대한민국법원 전자소송포털 사이트(임차권등기명령 신청)

 

환영합니다 - 전자소송포털

 

ecfs.scourt.go.kr

 


📎 관련글 보기

 

 

반응형